8월 정부지원금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최대 70만원 지급 혜택 신청하는 방법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란?


이번 8월부터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이 시작되어, 적립 횟수와 최대 적립금이 상향되고, 카드사도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사업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월 6만 6천원씩 최대 70만원 가량 지급하는 정부지원금과 함께, 전국민이 신청할 수 있으며, 1인당 최대 79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의 혜택은?


교통카드를 쥐고 있는 손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의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립 횟수가 기존 44회에서 60회로 늘어났습니다.

최대 적립금이 월 48,000원에서 66,000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카드사가 기존 6개에서 11개로 확대되었습니다.

일반인, 청년층, 저소득층별로 다른 적립률과 한도가 적용됩니다.


적립률과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대중교통 요금 적립률 한도
일반인 2,000원 미만 750% 월 15,000원.
2,000원 ~ 3,000원 700% 월 21,000원.
3,000원 이상 900% 월 27,000원.
청년층 2,000원 미만 1,050% 월 21,000원.
2,000원 ~ 3,000원 1,000% 월 30,000원.
3,000원 이상 1,300% 월 39,000원.
저소득층 2,000원 미만 2,100% 월 42,000원.
2,000원 ~ 3,000원 1,800% 월 54,000원.
3,000원 이상 2,200% 월 66,000원.


예를 들어, 일반인이 대중교통 요금이 2,000원인 버스를 타고, 걷거나 자전거로 1km 이동했다면, 2,000원의 750%인 15,000원을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3,000원인 지하철을 타고, 걷거나 자전거로 2km 이동했다면, 3,000원의 900%인 27,000원을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를 신청하는 방법은?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를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https://www.altteul.kr/)


알뜰 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카드사를 선택하고, 카드 번호와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합니다. (걷기측정앱: 헬스케어, 자전거측정앱: 스트라바)


앱에서 알뜰 교통카드와 연동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알뜰 교통카드로 결제하고,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앱으로 기록합니다.


매월 적립된 마일리지가 카드에 충전됩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의 주의사항은?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를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는 대중교통과 걷기 또는 자전거 이용이 연계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대중교통만 이용하거나 걷기 또는 자전거만 이용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걷기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는 하루 최대 10km까지 인정됩니다. 10km를 초과한 경우에는 추가적립되지 않습니다.


걷기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는 대중교통 이용 전후 1시간 내에 기록되어야 합니다. 1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마일리지 적립은 매월 첫째주 월요일에 집계되고, 매월 둘째주 월요일에 카드에 충전됩니다. 충전된 마일리지는 다음 달 말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하지 않은 마일리지는 소멸됩니다.


마치며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는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저소득층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생활을 장려하고 보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8월부터 적용되는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는 기존의 알뜰 교통카드보다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므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반드시 신청하셔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네이버에서 알뜰 교통카드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거나, 국토교통부 고객센터(1600-100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