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장점과 신청 방법

운전면허는 있지만 운전을 하지 않더라도 또는 장롱 면허라도 상관없이 누구나 무조건 신청해 두셔야 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착한 운전 마일리지입니다. 이 제도는 운전자가 1년 동안 무사고 무위반 준수 서약을 지키면 마일리지를 전입해주는 제도로, 마일리지를 사용해 교통법규 위반 등으로 인한 면허 정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장점과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란?


착한 운전 마일리지는 2017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운전자가 1년 동안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 10점의 마일리지가 적립되고, 이 마일리지를 사용해 교통법규 위반 등으로 인한 면허 정지를 막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식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장점은?

교통 단속중인 경찰차량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년간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 10점의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이 마일리지는 최대 50점까지 적립할 수 있습니다.


적립된 마일리지는 벌점 누산점수에서 11을 감경 받거나 벌점 10점을 공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적벌점 합계 점수가 49점이라면 10점을 공제해서 39점으로 면허정지를 면할 수 있습니다.


서약 이후 사고나 법규를 위반할 경우에도 특별한 불이익은 없습니다. 다만, 서약을 지키지 못했다면 마일리지는 소멸하게 되며, 교통법규 위반 다음날부터 다시 서약이 가능합니다.


서약 후에는 자동으로 갱신되므로 별도의 신청 절차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신청 방법은?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신청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 신청자 본인의 운전면허증을 경찰서나 지구대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온라인 신청: 경찰청 교통민원 24에서 로그인 후 화면에서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클릭하고, 무위반 무사고 서약 신청 버튼을 누르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다만, 2020년 9월 25일 이후 범칙금 또는 과태료 미납금이 있으면 서약 등록은 불가하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의 제외 사유는?

착한 운전 마일리지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4가지 사유에 해당되는 면허정지 이력이 있다면 이용할 수 없습니다. 제외되는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망사고.


음주운전.


난폭운전.


보복운전.


이러한 사유로 면허정지를 받은 경우에는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신청할 수 없으므로, 안전운전을 위해 꼭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이렇게 운전면허 소지자라면 장롱면허 소지자라도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착한 운전 마일리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제도는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식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이를 사용해 면허정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알고 계신 분도 있겠지만, 아직 많은 분들이 신청하지 않고 있기에 꼭 신청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신청하시려면 경찰청 교통민원 24에서 간단한 절차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을 하시는 분들은 모두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신청하셔서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